수출자와 수입자는 어떤 거래 관계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명칭이 다양하게 바뀜
▶ 거래 당사자 명칭
거래내용 | 수출자(exporter) | 수입자(importer) |
매매 관계 | seller | buyer |
무역 관계 | exporter | importer |
운송 관계 | consignor | consignee |
shipper | ||
신용장 관계 | beneficiary | applicant |
환어음 관계 | drawer | drawee |
계정 관계 | accounter | accountee |
매매 관계
- 수출자는 seller, 수입자는 buyer
운송 관계
- consign: 할당하다, 보내다 라는 뜻
- consignor: 물건을 보내는 사람(=shipper) / consignee: 물건을 받는 사람
- 수출자는 물건을 보내는 화물발신인(송화인, 화주), 수입자는 물건을 받는 화물수신인(수화인)
- notify party: 수입자 자신 또는 수입자를 대신해 통관 업무를 대행해 주는 업체
신용장 관계
- beneficiary: 수익자, 신용장이 대금지급 대상으로 지정한 수출자
- applicant: 개설인, 신용장을 개설한 수입자
환어음 관계
- draw: 돈을 인출하다
- drawr: 어음발행인
- drawee: 어음지급인
- payee: 환어음 수령인
'무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거래 위험 최소화: Risk hedge 수단 (0) | 2020.11.19 |
---|---|
무역 대금결제 방식 (0) | 2020.05.04 |
운송 계약: 물류비 구조의 이해(Bulk. Container. Air) (0) | 2020.03.19 |
수출 시 영세율 적용: 내국신용장(Local L/C)과 구매확인서(Confirmation of Purchase) (0) | 2020.03.18 |
네고(Nego)란? (0) | 2020.03.05 |
인보이스(Invoice), 패킹리스트(Packing list)란? (0) | 2019.11.25 |
Delivery: 인코텀즈(Incoterms) 2020 ver. (0) | 2019.11.14 |
신용장(L/C, Letter of Credit) 거래란? (0) | 2019.10.14 |